728x90

연봉 실수령액 2

2023 연봉 실수령액(1000만원~)-연봉자동계산법

2023년 연봉 실수령액(1000만 원~)-연봉자동계산법 4대 보험과 소득세, 지방소득세를 공제하고 난 뒤, 실제 받는 돈을 실수령액이라고 합니다.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은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궁금해하실 것 같아 연봉 실수령액표를 알아보겠습니다. 이 표는 부양가족수 1명을 기준으로 하니 참고하시고요. 또 부양가족수와 비과세금액에 따라 연봉 실수령액과 공제금액이 달라지니 자동으로 볼 수 있는 연봉자동 계산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◆ 목차 ◆ 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 연봉자동계산법 먼저 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입니다. 표의 순서는 연봉, 실수령액, 공제합계,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순입니다. 연봉 1000만 원~1900만 원 실수령액. 연봉 1000만 원 실수령액..

연봉 실수령액 계산기, 모의계산

연봉 실수령액 계산기, 모의계산 직장인이라면 연봉과 실수령액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계실 겁니다. 연봉을 12개월로 나누면 월급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맞기도 틀리기도 한 말인 거 같습니다. 원천징수하기 전의 급여를 세전이라고 하고, 원천징수를 하고 난 후의 급여를 세후라고 합니다. 우리의 월급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, 근로 소득세, 지방 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 공제한 후 나머지 금액을 월급(세후)으로 받는 것입니다. 이 월급을 실수령액(실제 수령액)이라고 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연봉과 실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. 온전히 받는 월급이면 너무 좋겠지만, 미래를 대비한 보험료와 세금등이 빠져 나가는 것이니 아예 없었던 돈 치고 사는게 마음이 편할수도 있겠습니다. 그래도 만약 ..

반응형
.myButton { box-shadow: 0px 1px 0px 0px #f0f7fa; background:linear-gradient(to bottom, #33bdef 5%, #019ad2 100%); background-color:#33bdef; border-radius:6px; border:1px solid #057fd0; display:inline-block; cursor:pointer; color:#ffffff; font-family:Arial; font-size:15px; font-weight:bold; padding:6px 24px; text-decoration:none; text-shadow:0px -1px 0px #5b6178; } .myButton:hover { background:linear-gradient(to bottom, #019ad2 5%, #33bdef 100%); background-color:#019ad2; } .myButton:active { position:relative; top:1px; }